개혁신학이 곧 언약신학이다

by dschoiword posted Jan 05, 2017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혁신학이 곧 언약신학이다


"개혁신학이 곧 언약신학이다"

- 리처드 프랫 주니어(Richard pratt Jr.)


사람들은 개혁신학을 곧잘 “언약신학”과 연관 짓는다. 주의를 기울여 들어보면, 목회자들과 성경교사들이 자신들을 “개혁파적이며 언약적”이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 “개혁파적이며 언약적”이라는 말에 대하여 우리는 왜 그렇게 함께 사용되는지를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언약신학은 칼빈주의자들이 성경에 대해 갖고 있는 기본적인 신앙이다. 자신들의 신앙유산에 거하는 모든 개신교인들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즉 성경이 우리의 최고이며 확실한 권위라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언약신학은 다른 개신교적 관점과 구별되는 점이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언약이 전체 성경의 가르침을 하나로 묶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혁신학이 갓 발전하기 시작할 즈음인 17세기, 성경에 대한 언약적 이해도가 높은 수준에 이르렀는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6), 사보이 선언(1658), 1689년 런던침례교 신앙고백서, 그 밖의 영어권 칼빈주의 그룹의 자료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자료들 사이에는 그렇게 큰 차이점을 찾아볼 수 없으며, 각 문서들은 한 장(chapter) 전체를 할애하여 인간과 맺으신 하나님의 언약이 성경의 가르침을 하나로 묶어주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언약을 방편 삼아 자신을 낮추셔서 인간에게 당신을 보여주신 하나님을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성경의 전체 역사를 두 개의 언약으로 구분한다. 곧, 아담 안의 “행위언약”과 그리스도 안의 “은혜언약”으로 나눈다는 말이다. 행위언약은 아담과 하와가 타락하기 전에 하나님께서 그들과 맺으신 것이다. 은혜언약은 성경의 나머지 부분을 지배한다. 이런 관점에서, 은혜언약의 모든 단계는 본질상 동일하다. 단지 그 언약의 단계들 간의 상이점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의 은혜언약을 성경역사의 다양한 방식에 따라 운영해 가실 때만 나타난다.


이러한 동일한 흐름에 따라, 많은 수의 현대 개혁신학자들이 특별한 성경적 언약을 신약의 “하나님 나라”와 결부시킴으로써 성경의 언약적 통일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의 중요성을 주기도문 시작 부분에서 가르치셨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마 6:9-10).


먼저, 예수님의 말씀이 가리키는 바는 역사의 우선적인 목적이 하나님 당신의 영광과 영예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또한 주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나라가 하늘에서 임한 것 같이 땅에도 임하여 하나님께서 이 영광을 받으실 것임을 가르친다. 하나님께서 목적하시는 것은 언제나 이 땅에 영광스러운 당신의 나라를 세우셔서 모든 피조물들에게 영원한 찬양을 받으시는 것이었다. 역사의 종말이 다다르면, 요한계시록 11:15의 그 유명한 찬양이 울려퍼질 것이다.


“일곱째 천사가 나팔을 불매 하늘에 큰 음성들이 나서 가로되 세상 나라가 우리 주와 그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 그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시리로다”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결과들을 보면, 하나님의 언약이 어떻게 주님의 지상 왕국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성경시대에 있어서, 이스라엘 주변국 왕들은 국제 조약들을 통해 자신들의 왕국을 확장했다. 성경학자들은 이 고대 조약들과 아담, 노아, 아브라함, 모세, 다윗, 그리스도 등과 맺은 성경의 언약들이 놀라울 정도로 병행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런 유사성은 성경이 언약을 하나님께서 그분의 지상 왕국을 확장하는 방식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성경의 언약들은 이전 언약이 갖는 원리들을 심화시켜 하나님 나라의 특수한 단계들에 필요한 내용들을 강조했다. 하나님은 아담과 더불어 당신의 왕권, 인간의 역할, 이땅에 대해 정하신 운명 등을 밝히 보여주시기 시작하셨다(창 1-3). 이 원리들은 하나님께서 노아언약으로 인간의 삶이 자연 속에서 안정될 것임을 약속하셨을 때 그대로 적용되었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크나큰 왕국이 되고 하나님의 복이 모든 열방에 전해질 것이라는 약속을 통해 이전 언약은 한층 강화된 형태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창 15, 17). 하나님은 모세의 시대에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주시고 그들을 축복하시며 이 언약을 세우셨다(출 19-24). 모든 이전 언약들은 하나님께서 다윗 왕조를 세우시고 다윗 후손 중 하나가 이스라엘과 모든 세상나라들을 의로 통치하리라 약속하셨던 때에 그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시 72; 89; 132). 모든 구약의 언약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심화되었고 성취되었다(렘 31:31; 고후 1:19-20). 다윗의 위대한 후손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과 승천, 재림은 영원히 하나님의 영광스런 나라로 이 세상을 변화시킬 것을 보증한다.


오늘날 많은 복음적 크리스천들은 창세기 3:15 이후의 모든 성경의 내용들이 하나의 은혜언약이 전개되어 나타나는 하나님 나라에 관한 것임을 잘 알지 못한다. 미국의 주류 복음주의자들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신학적 원리들의 지배를 받는 시대들로 구분하여 성경을 바라본다. 크리스천들이 이와같은 일반적인 성경접근법을 따를 때, 그들은 얼마 되지 않아 우리 시대의 새언약이 구약의 여러 부분들과 상충한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최소한 세가지 문제가 종종 전면에 등장하는데, 행위와 은혜, 집단적 믿음과 개인적 믿음, 지상적 중요성과 영적 중요성이 그것이다. 첫째, 많은 복음주의자들은 구약의 선행에 대한 강조가 그리스도를 믿어 은혜로 얻는 구원과 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둘째, 공동체로서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갖은 집단적 관계성은 개개인과 하나님이 갖는 개인적 관계성으로 집중되고 대체되었다고 본다. 셋째, 많은 복음주의자들은 구약이 하나님을 위한 지상 왕국 수립을 요구하는 반면, 신약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영적 왕국을 강조한다고 믿는다.


개혁신학자들은 언약신학을 통해 신약이 사실상 이 세가지 영역에 있어서 매우 구약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첫째, 이런 관점에서 그리스도를 믿어 은혜로 얻는 구원이 신약과 구약이 말하는 유일한 구원의 방법이었다는 것이다. 성경 전체에서 선행을 요구하는데, 그 까닭은 구원의 믿음이 항상 하나님께 대한 순종의 열매를 산출해 내기 때문이다. 둘째, 언약신학은 우리가 신구약이 말하는 바 하나님과 맺는 관계성이 개인적이면서도 집단적임을 깨닫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모든 하나님의 언약들은 두가지 수준에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한다. 신구약은 이 두가지 영역에서 우리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다양한 방식으로 언약신학은 이전보다 확장된 복음 공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대 개혁주의 진영에서 언약신학을 강력하게 재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개혁신학을 변호하는 신진학자들 중 많은 이들이 언약신학을 도외시하는 경우가 있다. 더군다나, 우리는 개혁신학이 흔히 은혜의 교리(전적 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같은 친숙한 신앙조목)라 칭하는 주제를 소홀히 취급해왔다. 물론, 이 성경의 진리들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언약신학이 제공하는 더 큰 구조를 강조하지 않게 될 때, 성경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세 부분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언약신학이 빠진 은혜의 교리는 사람들에게 개혁신학은 하나님의 은혜가 크리스천의 삶을 유지시키는데 있어 전부라고 가르친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물론, 이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신구약의 언약들은 일관되게 하나님은 항상 당신께서 주시는 은혜에 반응으로 인한 결연한 노력을 백성들에게 요구하셨으며 순종하면 상급을 주시고 불순종하면 벌을 내리시겠다는 말씀을 가르치셨다.


둘째, 언약신학과는 별도로, 우리 개혁주의 진영 사람들은 각 개인들이 하나님과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독특한 개혁주의적 방식이 개혁신학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오늘날, 개개인의 성결과 헌신을 결실하는 수많은 방법들이 개혁신학의 핵심적 특징처럼 여겨져왔다. 성경은 개인과 하나님의 관계도 중시하지만, 또한 공동체와 하나님 사이의 관계도 중시한다. 오직 개인과 연관된 성경의 언약들은 없다. 그 언약들 속에는 사람들 무리와 관계를 세우시는 하나님이 계신 것이다. 이런 까닭에, 신구약은 우리에게 신자들의 모임이란 내적으로 하나님의 은혜가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흐르는 언약 공동체라고 가르친다. 또한, 신구약의 가시적 교회는 내적으로 복음과 은혜의 일반적 방편을 받은 언약 공동체이다.


셋째, 은혜의 교리는 쉽사리 우리에게 개혁신학이 오직 영적인 문제에만 관심이 있다는 인상을 갖게 한다. 우리 개혁주의 진영의 많은 사람들은 성경의 참된 이해를 통해 내적인 변화를 갖는데 깊은 관심을 나타낸다. 그런데, 우리는 종종 크리스천으로서 갖는 물리적·사회적 소원을 가볍게 여기곤 한다. 언약신학은 우리에게 지상의 국가에 대한 훨씬 장대한 비전을 제공해준다. 우리는 모든 나라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여 사람들이 영적 변화를 갖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이 영적 갱신은 세상 문화의 모든 국면에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확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내용은 언약신학이 모든 크리스천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수많은 내용들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개혁신학은 무엇인가?”라고 자문해 볼 때, 다음과 같은 멋진 답을 얻게 될 것이다.


“개혁신학이 곧 언약신학이다.”


최찬영 블로거에서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