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선교정책의 혁명적 변화를 요청하는 글

by dschoiword posted Jan 21, 2015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천절 휴일이 무색… 명동은 요우커들 세상

            

기독교선교정책의 혁명적 변화를 요청하는 글


<한국일보> (2015.1.21.) 기고문


제목: 로컬 호구, 글로벌 호구


친구를 잃고 나는 쓴다. 스웨덴에서 온 내 유년기의 다정했던 친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더니 무시무시한 로봇 같은 대기업 공룡이 돼 한국에 상륙했다. 이 친구를 처음 만난 건 어릴 적 캘리포니아에서다. 어느 날 학교에서 돌아와 보니 내 새로운 친구가 기다리고 있었다. 바로 아빠가 조립한 이케아의 반들거리는 나무 침대였다. 이케아 덕분에 나는 비로소 거금을 들이지 않고서도 근사한 가구를 살 수 있다는 걸 알았다. 그리고 이 친구가 광명에 한국 첫 매장을 열었을 때 나는 이제 한국인도 마침내 가구를 살 때 더 저렴하고 선택 폭도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게 될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틀렸다. 한국에서 처음 찾은 이케아에서 수납장과 침대, 책장은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두 배까지 내 고국에서보다 비쌌다.


서비스에도 활력이 없었다. 

 

나의 스웨덴 친구여, 그대는 한국에서 이다지도 다른 사람이 되고 말았구나. 더 심각한 건 그렇게 변한 게 너 하나뿐만이 아니란 사실에 있겠지. 이국적인 브랜드명이 뿜어내는 매력을 앞세워 경쟁사가 많지 않은 곳에 발을 들인 몇몇 해외 기업들은 한국에서 종종 유리한 위치를 점유하곤 했다. 그리고 예외 없이 ‘재벌’로의 변이 과정을 거쳐 예외적으로 ‘갑을관계’에서 파생되는 이득을 선별적으로 취득한다.


소비자보호법이 소비자에게 ‘갑’으로서의 막강한 영향력을 부여하는 경쟁시장체제 하의 민주주의 국가에서라면 이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 하지만 한국 대기업들은 자유시장 자본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이 기본 법칙을 뒤집어놨고, 스스로가 갑으로 행세하며 판매조건을 좌지우지했다. 

 

싫어도 별 대안이 없다. 한국 사람들이 스스로를 ‘호구’라고 부르며 자조하는 걸 나는 종종 들을 수 있었다.

나는 지금 내 에이서 노트북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이 노트북은 서울에 있는 백화점에서 산 게 아니라 이베이를 통해 미국 판매자에게 주문해서 (수입관세까지 포함해) 한국 가격의 3분의 2 가격에 산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이제 수 없이 많다.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아마존에서 31.60달러 하는 불가리 향수 가격이 롯데백화점에서는 80.60달러다. 아마존에서 1,039달러 하는 삼성전자 아티브 노트북이 롯데백화점에서는 1,553달러까지 치솟는다. 타이멕스 위켄더는 어떨까? 이 시계는 미국에서는 명품과는 거리가 먼 저렴하고 부담 없는 시계로 통하는데, 아마존에서는 24.62달러지만 한국 매장에서는 놀랍게도 세 배가 넘는 88.90달러에 팔리고 있다. 

 

이케아 같은 수입업체는 높은 수입관세와 국세 및 지역세, 그리고 한국인의 취향이 가격을 뛰어오르게 하는 요인이라고 지목하곤 한다. 부분적으로 맞는 말일 수도 있지만 그 같은 방어 논리에는 한 가지 중요한 이유가 빠져 있다. 소비자들이 바친 돈으로 ‘갑’의 자리에 올라 지배적 지위를 점유한 데서 오는 안락함을 누리며 시장을 과점하는 경직되고 군사주의적인 재벌 회장님들의 존재 말이다. 한국에 상륙한 외국계 회사들 또한 재벌 회장님들이 하던 버릇대로 적응하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다행히 한국 소비자들은 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이제 조류에 맞서 싸울 무기를 획득하게 됐다. 정부가 뭐라 하건, 온라인 쇼핑은 국익에도 좋은 것이다. 그 덕분에 대형 유통업체도 가격을 낮추고 개방된 시장에서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구닥다리식 점포가 문을 닫은 사례는 많다. 한국에서도 아이허브(iHerb.com) 돌풍이 불었고, 오프라인에서는 맛집과 수제맥주, 음악 분야에서 선택의 폭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게 바로 민주주의가 발전해나가는 방식 아닐까. 재벌과 한국식 재벌을 그대로 따라 하는 외국 기업에게 고하노니, “당신들의 황금기는 끝났습니다.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귀족이 마주할 운명은 ‘몰락’뿐입니다.”


제프리 케인 글로벌 포스트 동아시아 수석특파원

제프리 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