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활란(金活蘭)

by reformanda posted Apr 05,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rlaghkffks.jpg

 

김활란(金活蘭)

일제강점기의 교육자, 친일파 (18991970)

 

아래는 위키백과의 김활란에 대한 소개의 글이다.

 

생애

 

김활란(1899227~1970210)은 일제강점기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재단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개신교인, 교육자, 대한민국 여성교육의 선구자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다초명(初名)은 기득(己得), 아호는 우월(又月), 세례명은 헬렌(Helen), 일본식 이름은 아마기 가츠란(天城活蘭)이다. 이화학당의 고등부를 거쳐 1918년 이화학당 대학부를 졸업하고, 중앙기독교청년회(YMCA)에서 활동하다가 여자 YMCA를 독립, 1923년 유각경 등과 함께 조선 중앙여성기독교청년회(YWCA)를 조직하였다. (중략)

 

1923년 미국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 편입, 1924년 학사 학위를 받고, 보스턴대학교 철학과에 편입하여 19269월에는 철학석사를 받았으며, 귀국 후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교사와 교감, 부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미국 유학 중 "무지와 구습의 타파"를 이유로 공개 단발을 하여 화제가 되었다. 193110월에는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철학박사를 받았다.

 

김활란은 일제강점기 1936년 전후로 일본의 강경노선에 따라 적극적으로 친일 행위를 하였다. 그는 강연, 논술활동을 하는 한편 1941년 창씨개명 후 전시 체제에 협력하여 칼럼, 강연, 학도병 독려 등의 활동을 펼쳤다. 1941년 임전보국단 결전부인대회에서 여성의 무장’, 1942년 싱가포르 공략 대강연회에서는 대동아건설과 우리 준비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그리고 여러 잡지에 징병제와 반도여성의 각오’, ‘뒷일은 우리가’, ‘남자에 지지 않게 황국 여성으로서 사명을 완수등의 글을 발표하며 조선 민중들에게 일제의 침략 전쟁에 적극 참여할 것을 활발하게 종용하는 적극적인 친일행각을 서슴지 않았다.

 

광복 이후에는 반탁운동에 참여한 뒤 48년 장면, 조병옥과 함께 파리 UN 총회에 파견되어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받고 귀국했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전시 내각에 참여했다가 정식 공보처장으로 활동하였다. 그 뒤 이화여자대학교 초대 총장을 맡았으며, 언론인으로는 영자(英字)신문사 '코리아타임즈(The Korea Times) 사장을 맡았다. (중략)

 

친일 행적

 

2005325일 이화여대 학생들은 친일파 김활란의 동상 철거를 요구하며, 아래의 친일 행적을 밝혔다.

 

19396동양지광- 부인들끼리의 애정과 이해 - 내선 부인의 애국적 협력을 위하여 과거 조선의 부인운동은 어쨌든 화려한 시기가 있긴 있었습니다마는 이제 와서 생각하면 정말로 구호에 불과한 부끄러운 일도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제부터는 내선 일체의 대업 속에서 정말로 확고하게 현실성이 있는 부인운동이 전개되어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9411227- 여성의 무장(조선임전보국단 주최 결전부인대회 결성식 부민관 대강당). 저 흑노(黑奴) 해방(노예 해방)의 싸움을 성전이라 했고 십자군의 싸움도 성전이라 했다. 그러나 이제 성전은 정말로 내려진 것이다. 동아 10억의 민족을 해방하고 광명으로 인도하려는 도의의 전쟁이다. 우리 총후의 반도 여성은 지금 이 도의 전쟁에 한 사람의 투사로서 가담하고 있다는 광영(光榮)을 가졌다.

 

194212- 징병제와 반도 여성의 각오(이화여전 교장). 이제야 기다리고 기다리던 징병제라는 커다란 감격이 왔다(중략이제 우리에게도 국민으로서의 최대 책임을 다할 기회가 왔고, 그 책임을 다함으로써 진정한 황국 신민으로서의 영광을 누리게 된 것이다. 생각하면 얼마나 황송한 일인지 알 수 없다. 이 감격을 저버리지 않고 우리에게 내려진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할 것이다.

 

194387일 매일신보 - 거룩한 대화혼을 명심 - 적 결멸에 일로매진, 이 기회에 대동아 건설을 위하여 동아 10억의 민족을 저 앵글로 색슨의 손으로부터 해방하기 위하여 우리 황군이 도의의 싸움을 하고 있는 이 때에 반도 청년에 이러한 영예를 내리옵심은 더욱 기쁜 바이며, 또한 행복된 일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배속으로부터 대화혼의 소유자가 되어야 한다. (중략) 존엄하옵신 황실을 받들어 모시고 생사를 초월하여 대군을 위하여 순국 봉사하는 그 마음 오직 우리 황국 신민만이, 특히 제국 군인만이 경험할 수 있는 바이다.

 

194312월 조광 - 뒷일은 우리가, 학병제군 앞에는 양양한 전도가 열리었다. 몸으로 국가에 순()하는 거룩한 사명이 부여되었다. 이 얼마나 감사할 일이냐. 제군은 오늘 이때를 영구히 잊지 못할 것이다. 나가라! 전선으로. 그 뒤는 우리가 맡겠다. 총후의 여성들은 제군들이 안심할 만큼 만사를 해내일 각오가 굳은 바이니, 바라건대 모쪼록 빛나는 전공을 세워 조선학도의 참다운 일면을 길이 청사에 빛내여라!

 

19431225일 매일신보 - 남자에 지지 않게 황국 여성으로서 사명을 완수, 194312월 전시교육임시조치령에 따라, 이화여자전문학교를 폐교하고 '여자특별연성소'라는 농촌 지도원 양성 기관으로 바뀐 것에 대하여 매일신보에 발표한 글그러나 싸움이란 반드시 제일선에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학교가 앞으로 여자특별연성소 지도원 양성 기관으로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인 동시에 생도들도 황국 여성으로서 다시 없는 특전이라고 감격하고 있습니다.

 

193869일 매일신보 - 감격과 가중한 책임 - 진두에 나설 여학생의 결의, 19386월 당시 조선 YWCA의 회장으로 있던 그는 비상시국에 있어 기독교 여자 청년들도 내선 일체의 깃발 아래로 모여 시국을 재인식하는 동시에 황국 신민으로서 앞날을 자기(自期)하는 의미에서라며 일본 YWCA에 가맹 발표했다.

 

동상 철거 문제

 

2005425일 민노당 이화여대 학생위원회(이하 이대 학생위)25일 낮 12시 대학 내 김활란 동상 앞에서 이화여대 친일잔재 청산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김활란 상' 폐지와 동상철거 등을 요구했다. 이대 학생위는 성명서에서 이화의 자랑스러운 선배는 친일파 김활란 초대총장이 아닌 이화학당의 재학생으로서 독립운동에 자신을 헌신한 유관순 의사가 되어야 한다한국의 여성운동은 김활란 이화여대 총장을 극복하지 않으면 발전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이화여대 학생수첩을 보면 김활란 총장이 이화의 뿌리로, 선배로 올라와 있다김활란 전 총장의 친일행적에 대한 입장을 총학생회(학생수첩 내용은 총학생회 책임으로 작성)에 듣고자 했지만 어떠한 답도 얻을 수 없었다며 친일 총장을 이화의 뿌리로 선정한 총학생회에 대해 비판했다.

 

이화여대 총학생회는 민노당 학생위의 공개질의에 대한 답변에서 김활란 초대총장을 학생수첩에 수록한 것은 이화인의 뿌리찾기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친일행적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13] 이화여대 총학생회는 423"재학생들에게 이화여대 역사에 대해 잘 알려주어야 한다는 뜻으로 제1대 메리 스크랜턴 당장님부터 제8대 김옥길 총장님까지 모두 다섯 분의 역대 총장님을 수록했고 김활란 총장님은 이 중 한 분의 총장님으로 수록되었다"고 답변했다. 민노당 학생위를 비롯한 일부 학생들의 요구에 학교 측에서는 응대하지 않았고 동상 철거를 요구하는 일부 학생과 이를 반대하는 학교 측의 갈등은 진행 중에 있다.

 

평가와 비판

 

김활란에 대한 평가는 매우 상반된 평가로 나뉘어 있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미국 박사학위를 수여받은 대표적인 엘리트 지식인으로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공적을 남겼으며 여성주의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1936년 전후로 대표적인 여성 친일파로 변절해 일제 말기 전시 체제 때 적극적인 전쟁 협력자로 활동하였다는 비판적인 평가가 많다.[22] 또한 여성 교육자들 중 자신의 제자를 전쟁터에 보낸 인물 중의 한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이화여대 학생 모임인 이구동성은 "김활란 초대 총장은 그동안 '여성박사 1', '여성운동의 선구자'라는 이유로 제대로 된 역사적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23] 이구동성은 "이화여대의 부끄러운 역사로 남아있는 김활란 초대 총장보다 독립 운동을 위해 목숨을 받친 유관순 열사가 이화여대의 자랑스런 선배가 돼야 한다""유관순 열사는 이화인과 우리 국민이 본받아야 할 인물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화여대의 부끄러운 역사를 다시 쓰기 위해 과오는 철저히 비판하고 공은 높이 사서 기려야 한다""유관순 열사의 동상을 이화인의 힘으로 세우자"고 주장했다.

 

김활란의 본명은 기해년에 태어났다고 하여 기득(己得)이라 했으나 후에 활란으로 개명했다. 활란이라는 이름은 그의 감리교 세례명 헬렌(Helen)을 한자어로 음역해서 표기한 것이다. 외국에서는 그의 세례명이자 영문명인 헬렌 킴(Hellen Kim)으로 널리 알려졌다.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