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cc333.jpg

 

 

 

예수님와 스토리텔링

 

기독일보 뉴욕=김유진 기자(nydaily@gmail.com)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7716#share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7716#share

미국 크리스천포스트는 복음주의 원로 지도자인 존 소렌센 목사(John B. Sorensen)가 기고한 ‘예수와 복음의 스토리텔링 기술’이란 제목의 칼럼을 최근 소개했다.

 

존 소렌센 목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번콤 카운티에 위치한 ‘국제전도폭발(Evangelism Exposition International)’의 회장이자 CEO이다.

 

소렌센 목사는 칼럼에서 국제전도폭발의 창립자인 제임스 케네디 박사가 말한 “이야기는 창문과도 같으며, 사람들이 당신이 말하는 것을 보며 진정으로 이해하게 한다”는 문구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가장 강력한 형태의 스토리텔링 중 하나는 우리의 개인적인 간증, 즉 하나님이 우리를 어떻게 구원하셨고, 그분이 우리 삶에서 어떻게 일하고 계신지에 관한 이야기”라며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고 깊은 영적 진리를 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그가 제안한 예수님의 스토리텔링 기술 4가지에 관한 요약이다.

 

1. 짧게 말하라

 

예수님은 이야기의 모든 세부사항을 설명하는데 몇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다. 그분은 자신의 요점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것을 나눴으며 간략했다. 나는 2-3분 이하의 짧은 간증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는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계속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 하며, 더 많은 것을 원하게 만든다.

 

2. 다른 사람과 동일시하라

 

예수님은 듣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분은 농사짓는 일, 회당에서 동전을 내는 일, 다양한 유대교 전통에 대해 말씀했다. 우리가 대화하는 모든 사람이 우리의 인생 이야기를 전부 들을 필요는 없다. 그러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하나님과 동행하며 겪고 있는 한 가지 이야기를 고르라. 어려운 상황 가운데서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공급해 주셨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게 말할 때는 주의깊게 경청하라. 그들이 들어야 할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다.

 

3. 기독교 전문용어를 피하라

 

예수님의 비유는 깊은 영적 진리를 보여 주셨지만, 단순한 방식으로 전달했다. 그분의 언어는 분명하고 이해하기가 쉬웠다. 대화하는 모든 사람이 교회적 배경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라. 그들은 “거듭남”이나 “성화”와 같은 기독교 표현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당신의 언어를 단순하고 공감대를 가질 수 있게 하라. 하나님에 관한 당신의 이야기는 그들을 예수님께로 이끌 수 있는 기회다. 추가 설명이 필요한 단어나 구절들로 그들에게 혼동을 주어선 안된다.

 

4.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집중하라

 

예수님은 긍정을 강조하셨다. 그분의 이야기는 생명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기 위한 도전으로 끝이 났다. 그리고 변화를 촉구했다. 마찬가지로, 만일 우리가 우리의 죄적 본성과 과거의 삶의 공포만을 강조한다면 요점을 놓친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구원의 소망을 전해야 한다. 그리스도를 만나기 이전의 당신의 삶을 간략히 요약하되, 어떻게 그분을 알게 되었으며, 그분이 당신의 삶에 이루신 변화에 초점을 맞추라. 이는 자연스럽게 듣는 사람의 반응을 불러온다.

 

우리의 이야기는 강력할 수 있다. 여기에는 살아계신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개인적 경험이 담겨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그 능력을 경험하고 싶어하도록 이끌 수 있다. 다른 사람들과 복음을 나눌 때 자신의 하나님에 관한 이야기를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보라.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7716#share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1967 file
    read more
  2. No Image

    개혁교회운동에 대한 연구 보고서 (2021)

      개혁교회운동에 대한 연구 보고서 (2021)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해설: 예장 고신 총회 제71회 총회가 받기로 결의한 "개혁교회운동에 대한 연구보고서"이다. 고신교단 정체성에 반하는 신학 사상 조사 및 처리 결과 요청 건(경남김해노회)과 '교회개혁운동...
    Date2021.10.07 Byreformanda Reply0 Views271
    Read More
  3. No Image

    대한예수교장로회신앙고백서 (2007)

        대한예수교장로회신앙고백서 (2007)   제00장 서문 [서문에 관하여]1. 우리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호를 찬미하며, 그 신비하신 섭리와 은총에 감사를 드린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우리 한국에 전해진 지 백년이 되었다. 그간 우리교회는 사도...
    Date2021.10.02 Byreformanda Reply0 Views394
    Read More
  4. “예수와 스토리텔링

          예수님와 스토리텔링   기독일보 뉴욕=김유진 기자(nydaily@gmail.com)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7716#share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7716#share 미국 크리스천포스트는 복음주...
    Date2021.09.23 Byreformanda Reply0 Views216 file
    Read More
  5. [평양공동선언] 군사분야 합의서 전문(2018)

        [평양공동선언] 군사분야 합의서 전문     남과 북은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 상태를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공통된 인식으로부터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판문점선언'을 군사적으...
    Date2021.08.13 Byreformanda Reply0 Views200 file
    Read More
  6. No Image

    수집할 글들

      글 수집하라     월간고신,   -한국교회의 계급적 직분이해, 1991. 2, (28-) ====세계교회협의회와 초혼제, 1991. 6, (54-) -평형의 신학, 1992.8., (52-) -아버지의 권위와 책임, 1994.5, (26-) -성수대교 지존파 그리고 한국교회, 1994.12. (82-) -윌로우...
    Date2021.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68
    Read More
  7. WCC 선교와 전도 선언문: 함께 생명을 향하여

        WCC 선교와 전도 선언문: 함께 생명을 향하여 기독교의 지형 변화 속에서 선교와 전도WCC 선교와 전도에 대한 새로운 확언세계선교와전도위원회(CWME)는 2006년 포르토알레그레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 이후 새로운 에큐메니칼 선교확언을 채택하기 위...
    Date2021.05.27 Byreformanda Reply0 Views507 file
    Read More
  8. 기쁜소식선교회 박옥수 목사

      부산역, 1920년대, 1953년경 화재로 소실   기쁜소식선교회 박옥수 목사   가짜 만병통치약 “또별” 문제로 벌금형을 받았던 기쁜소식선교회 대표 박옥수씨가 최근에는 주식문제로 다시 세상법정에서 재판을 받았고 검찰에서 항소를 하였다고 신문들이 떠들...
    Date2021.05.07 Byreformanda Reply0 Views1476 file
    Read More
  9. 제도적 교회와 비제도적 교회

        제도적 교회와 비제도적 교회   고경태, 2021.04.27 23 리폼드 투데이   서 조동진 박사가 “제도적 교회의 시대는 지나갔다”고 발제했다.   비서구권 선교를 주창한 조동진 박사가 “비제도적 교회 시대”의 도래를 언급했다. 사도 시대에 교회가 없고 오직...
    Date2021.04.30 Byreformanda Reply0 Views428 file
    Read More
  10. WEA는 유대교와도 연합을 시도한다

          WEA는 유대교와도 연합을 시도한다.   서철원, 2021.04.28. 바른믿음     1. 윌로우뱅크 선언   WEA는 1989년 신학 위원회를 통하여 그리스도 복음과 유대백성에 대한 윌로우뱅크 선언을 하였다 (The Willowbank on the Christian Gospel and the Jewish...
    Date2021.04.30 Byreformanda Reply0 Views231 file
    Read More
  11. 베델성서연구와 성서신학 운동

      베델성서연구와 성서신학 운동   엄현섭   I. 서론   한국교회가 선교 백여 년 만에 세계 어느 나라의 교회도 추종을 불허할 만큼 급성장한 일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 개신 교회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했다. 이...
    Date2021.04.23 Byreformanda Reply0 Views585 file
    Read More
  12. 구조주의

      치밀한 구조의 결과인 꽃 한송이   구조주의   사람들은 흔히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쉽사리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는 문제들을 ‘구조적인’ 문제라고 말한다. 이런 문제들은 문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어떤 한두 가지 요소를 ...
    Date2021.04.06 Byreformanda Reply0 Views249 file
    Read More
  13. 부활절 설교, 어떻게 해야 할까?

        부활절 설교,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교회에서 부활설교는 전통적인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의 설교가 패턴을 이루어 왔다. 전통적인 부활설교는 "부활의 역사적 사실"에 초점을 둔다. 매년 부활절이면 찾아오는 레퍼토리는 "예수는 부활하셨다!"이다. 작...
    Date2021.04.04 Byreformanda Reply0 Views615 file
    Read More
  14.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한국장로교신학회(회장 박용규 교수) 제36회 온라인 학술발표회가 20일, 우병훈 교수(고신대)는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교부시대부터 종교개혁기까지 중요 인물들을 중심으로’를 제목으로 발표했다....
    Date2021.03.21 Byreformanda Reply0 Views348 file
    Read More
  15. 바람의 시작과 끝, 어느 것이 중생인가?

      손성은 목사(왼편)         바람의 시작과 끝, 어느 것이 중생인가? (1) 1. “바람이 임의로 불매 네가 그 소리는 들어도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나니 성령으로 난 사람도 그러하니라”(요3:8). 중생의 신비에 대해서, 성령님의 중생의 사역의 ...
    Date2021.03.13 Byreformanda Reply0 Views288 file
    Read More
  16. 영상설교자의 각오

          영상설교자의 각오   영상설교자, 유튜브 채널을 이용하는 예배 방송자는 고민한다. 어떻게 하면 유튜브 예배자, 설교 시청자에게 다가갈까?   영상설교는 하나님의 말씀 전하는 공간이다. 말씀 전하는 법을 훈련하는 공간이다.   어떻게 하면 설교를 잘...
    Date2021.03.09 Byreformanda Reply0 Views15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