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카파도키아의 독특한 지형은 90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만들어졌다.jpg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에서

 

바질

 

위격과 실체 휘포시스타시스와 우시아. 세 위격 내의 한 실체. -> 한 실체 한에 세 위격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세 위격 안의 한 실체로 제시한다(대 바실).

 

김석환은 바실이 아타나시우스의 삼위일체론의 약점을 보완한 것으로 제시한다(19). 그 내용은 삼위일체 내의 단일성과 삼위성을 동시에 표현하는 것에서 확정된 용어의 결여이다. 바실이 De Spiritu Sancto와 서신들에서 니케야 신조의 신학을 오직 성경에 근거하여 옹호하였으며, 성령의 인격성과 동일실체성을 강조했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나지안주스의 고레고리는 아버지의 비기원성과 아들과 성령은 아버지께 기원하는 것을 근거로, 아버지의 특성을 비출생으로, 아들의 특성을 출생으로 성령의 특성을 출래로 표기했다. 김석환은 이 과정이 바실이 규정한 세 위격 내의 한 실체라는 공식에서 확장시킨 것으로 제시했다(20).

 

나의 친구들이여, 삼위일체께서 한 신격(One Godhead)으로 계시다고 고백하십시오. 또는 그대들이 좋다면 한 본성(One Nature)으로 계시다고 고백하십시오. 우리는 성령께서 이미 그대들에게 첫 번째 경우에도 하나님이라는 단어를 허락하셨고, 두 번째 경우에도 그러하셨던 것처럼 이번에도 이 하나님이라는 단어를 허락하실 것입니다(Gregory of Nazianzus, Or, 41:8).

 

닛사의 그레고리

 

닛사의 그레고리는 자기 형 바실이 세운, 세 위격 내의 한 실체라는 신학적 전제와 또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가 정리한 비출생, 출생, 출래 라는 세 위격 상호 간의 관계 위에 자기 신학의 뿌리를 박고 신학적 논의를 더욱 진전시켰다(21). Quod non sint tres Dii(혹은 Dei). 닛사의 그레고리의 활동의 단일성, 실체의 단일성을 주장하면서 페리코레시스 이론의 근거를 제공했다. 신격(Godhead)을 본성(nature)이라는 측면 보다 오히려 활동(operation)으로 이해할 것을 제언했다.

 

그레고리는 신격(테오테스, Godhead), 신성(테이오테스, divinity)로 구분했는데, 논란의 여지가 있다. physisousia에 대한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테오테스, 테이오테스, naturesubstance, essence를 다른 것으로 말하는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다.

 

갑바도기아 교부들은 니케아 신조를 바탕으로 하여 삼위일체론을 전개하면서, 성부, 성자, 성령의 신적 위격들이 서로 확실히 구별되면서 동시에 단일한 신적 실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한 하나님께서 곧 삼위격이시고, 삼위격이 곧 한 하나님이시다. 갑바도기아 교부들 삼위일체론의 주된 관심은 우선 먼저 삼위의 구분을 확실히 하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 시대적 상황이 어미 니케야 회의에서 아리우스주의에 대한 이단 규정이 분명하게 이루어진 뒤였기 때문에, 한편으로 유사 아리우스주의자들에 대하여 투쟁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그보다도 그 당시 새롭게 되살아나는 양태론의 망령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는 데에 갑바도기아 교부들이 우선적인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갑바도기아 교부들은 수십년 전에 이미 아리우스가 사용하였고 또 150년쯤 전에 오리겐이 사용하였던 용어인 세 위격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삼위에 대한 구분을 확실히 하고 양태론에 대항하였다.

 

갑바도기아 교부들은 정통 삼위일체론을 완성하는 위업을 이룩하였는데, 그들의 삼위일체론과 성령론은 AD 381년 작성된 콘스탄티노플 신조에서 그 열매를 맺게 되었고, 특히 제3조 성령 조항이 그들로 말미암아 공식화되었다.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 중에서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1967 file
    read more
  2. 전광훈의 “서울고백서'에 대하여

            전광훈의 “서울고백서"(2019)에 대하여   아래의 글은 지난 2019년 10월 25일 서울 광화문 집회에서 발표된 '서울고백서'이다. 전광훈 목사의 신학 면모를 엿보게 하는 어설픈 일종의 '신앙고백서'이다. <크리스찬타임스>(2019.10.26.)에서 옮겨 온 것...
    Date2021.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864 file
    Read More
  3. HOW THE APOSTLES OF CHRIST DIED

        HOW THE APOSTLES and SOME DISCIPLES OF CHRIST DIED:   1. Matthew - suffered martyrdom in Ethiopia, killed by a sword wound.   2. Mark - died in Alexandria, Egypt, after being dragged by horses through the streets until he was dead.   3....
    Date2021.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20779 file
    Read More
  4. 도마복음서 (한글)

        도마복음서 전문   <도마복음서>는 초대교회를 괴롭힌 영지주의 한 그룹의 문서이다. 영지주의는 예수께서 육으로 왔음을 부정한 이단이다(요2 1:7). 영지주의는 오늘날의 자유주의 신학처럼 이원론에 근거한 하나의 사상풍조였다. 영지주의는 여러 가지 ...
    Date2021.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1103 file
    Read More
  5.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   아래 기사는 <리폼드 뉴스>를 발췌한 것이다. 서철원 박사(전 총신학교 신학대원 조직신학교수)는 근래에 예장 합동의 한 기구가 주선한 자리에서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했다. "[흔...
    Date2021.02.23 Byreformanda Reply0 Views590 file
    Read More
  6. 김세윤이 칭의론을 또 바꾸다

        김세윤, 칭의론을 또 바꾸다   김세윤 박사(전 풀러신학교 교수)는 "유보적 칭의론"을 주창하다가 비판을 받자 "예약 칭의론"이라고 바꾸었다.  식당 예약(reservation)을 하는 것 같이, 구원이 칭의로 예약되었으나 우리 자신이 그 예약을 무시하고 식당...
    Date2020.09.16 Byreformanda Reply0 Views934 file
    Read More
  7. 개혁교회는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개혁교회는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개혁주의 전통의 교회들은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신앙고백서는 올바른 믿음을 고백, 고수, 확인하고 교회 안팎에서 제기된 이견들과 이단사상들을 견제하려고 작성되었다. 신앙고백서는 성경에 부속된 ...
    Date2020.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381 file
    Read More
  8. 칼빈의 제네바교리문답(1542)

    제네바아카데미, 현 제네바대학교 칼빈칼리지  칼빈의 제네바교리문답(1542) 제네바교리문답서(1542)는 종교개혁 신학자 존 칼빈(John, Calvin)이 제네바교회의 자녀들과 새 신자들의 성경 교육 목적으로 사용하던 교리문답서이다. 후대에 장로교회가 전통적...
    Date2020.07.04 Byreformanda Reply0 Views1638 file
    Read More
  9.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 중에서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에서   바질   위격과 실체 휘포시스타시스와 우시아. 세 위격 내의 한 실체. -> 한 실체 한에 세 위격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세 위격 안의 한 실체로 제시한다(대 바실).   김석환은 바실이 아타나시우스의 ...
    Date2020.06.16 Byreformanda Reply0 Views450 file
    Read More
  10. 보수는 진보를 이길 수 없다

    보수는 진보를 이길 수 없다 노우호 목사/ 에스라 하우스 역사는 진보를 향해 달려가는데, 보수는 무엇을 하고 있나 문재인 정부가 시작된 후 우리나라 정치인들 대부분 착각속에 살고 있는 것 같다  여당이라는 더불어 민주당과 현 정부의 사람들은 아직도 ...
    Date2020.06.14 Byreformanda Reply0 Views493 file
    Read More
  11. 예장 합신, 코로나19 사태와 목회 대응제안

    예장 합신, 코로나19 사태와 목회 대응제안  아래의 제안문은 논점일탈의 오류, 순환논리의 오류, 수구주의 정신성을 담고 있다. 우리는 코비드 19가 사라지고 오순절날부터 2019년까지 지속된 방식의 예배를 드리고 목회를 하기를 바란다. 과학자들이 절대로...
    Date2020.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75 file
    Read More
  12.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성경과 그리스도에 대한 주장

      자유주의자 신학자들의 성경과 그리스도에 대한 주장 (손오공) 우리 인류의 역사는  봉건주의,제국주의,사회주의,자본주의...등 이데올로기 투쟁의 역사로 부터 회피할 수 없다고 본다.그러나  인류에게 가장 적합한 이데올로기는 무엇인지에 대한 해답은 ...
    Date2020.05.30 Byreformanda Reply0 Views506 file
    Read More
  13. 미국형 칼빈주의를 극복하라/ 카이퍼

    미국형 칼빈주의를 극복하라/ 아브라함 카이퍼 주: 아래의 글은 한국복음연합(TGC, 2020.05.4.)에 게재된 것이다. 글쓴이는 김은득 목사이다.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공공신학을 연구하고 있다. 이 글에 나오는 아브라함 카이퍼는 1920년에 세상을 떠났고, 그레...
    Date2020.05.25 Byreformanda Reply0 Views393 file
    Read More
  14. 가계저주론은 성경적인가?

    가계저주론은 성경적인가? 원제: "가계에 흐르는 저주 이론”은 과연 성경적인가? (1999년 10월호) 오광만 교수 rhkdo@lycos.co.kr 장신신학원 교수   최근에 '가계에 흐르는 저주를 끊는' 방법론이 한국교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미 2년 전부터 기...
    Date2020.05.13 Byreformanda Reply0 Views994 file
    Read More
  15. 십일조

    조에 관한 확실한 이해와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십일조 (오광만 교수)   I. 서론   구약 성경에 십일조를 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는 본문이 많이 있다. 이것을 근거로 오늘날도 여전히 많은 교회와 목회자들이 직분자들에게 십일조를 ...
    Date2020.05.13 Byreformanda Reply0 Views791 file
    Read More
  16. 장로교회의 동등성 원칙

    장로교회의 동등성 원칙 원졔: 누가 장로교회를 망쳐놓았나?   주지하다시피 장로교회는 성경에서 그 원리를 배웠고, 장 칼뱅과 존 녹스, 엔드류 멜빌 등을 통해 스위스, 스코틀랜드에서 토대를 쌓았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대소요리문답, 헌법, 권징조...
    Date2020.05.12 Byreformanda Reply0 Views21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