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글: 뉴스앤조이
"신사참배 저항은 항일운동이었다"
역사신학자들 "항일 기독교인 재조명해야" 한목소리
<뉴스앤조이> 기사, 박요셉 기자 ( 2016.12.13.)
1931년 일본은 만주사변을 일으킨 뒤 빠르게 군국주의화했다. 천황을 신격화하고 조선에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몇 몇 기독교인은 이에 저항했다. 대표적인 인물로 주기철 목사가 있다. 신사참배에 저항하다 투옥된 주 목사는 1944년 옥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주 목사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주기철 목사처럼 신사참배에 저항하고 반대 운동을 펼쳤지만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지 못한 이들이 있다. 한상동 목사, 이인제 목사, 조수옥 권사 등이다. 이들의 신사참배 저항을 독립운동으로 재평가하고, 독립운동가로 인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월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는 '독립운동가 인준 청원을 위한 항일 기독교인들 재조명 학술 토론회'가 열렸다. 사단법인 아침(최수경 사무총장)과 김한표·이주영·이혜훈 국회의원실(이상 새누리당)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역사신학자, 독립기념관 연구원 등이 한자리에 모여 '일제 신사참배 거부 투쟁은 독립운동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했다.
토론회는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저항운동을 펼친 한상동 목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최재건 교수(연세대 한국기독교연구소)가 '일제 치하의 신사참배와 한국교회', 최덕성 총장(브니엘신학교)이 '한상동과 주기철 신사참배 거부 운동 무엇이 다른가', 박희천 원로목사(내수동교회)는 '내가 본 출옥 성도 한상동 목사'를 주제로 발표했다.
최재건 교수는 개인 차원에서 신사참배에 저항한 기독교인이 상당했다고 설명했다. 교단과 달리 신사참배에 저항한 기독교인들이 있었다.
최재건 교수는 일제 치하에서 마지막까지 신사참배에 반대하지 않았던 한국교회를 지적하며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1930년대 초반, 일제가 본격적으로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할 때 한국교회는 모두 반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간이 점차 지날수록 한국교회는 일본의 회유와 협박에 넘어갔다. 1938년 조선예수교장로회가 27회 총회에서 신사참배에 찬성하는 안을 가결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도 같은 해 '신사참배가 국민의 의례이므로 참석하라'는 통고문을 전 교회에 발송했다.
교단이 신사참배에 동조했지만 개인 차원에서 끝까지 반대하는 이들은 상당했다고 최 교수는 말했다. 이들은 주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주기철(평안남도), 이기선(평안북도), 한상동과 주남선(경상남도), 손양원(전라남도), 헌트와 김윤섭과 박의흠(만주)이 신사참배 반대 운동의 주축이 되었다.
최 교수는 "한상동 목사처럼 가장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저항했던 이는 없었다. 한 목사는 지역별로 조직을 만들어 거부 운동을 전개했다. 기존 노회를 파괴하고 참배 거부자들이 중심이 된 새로운 노회를 구성하자는 주장도 했다"고 평했다.
기독교인들이 신사참배를 반대하는 이유는 신앙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민족운동적인 측면이 있다고 최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신사참배는 한국인의 황민화를 위한 정책 일환으로 강요됐다. 참배를 거절하는 일 자체가 항일 행위였다. 한국 사학계도 이런 저항운동을 민족운동 일환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덕성 총장은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했지만 독립유공자로 인준받지 못한 이들에 대한 재심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덕성 총장은 주기철 목사와 한상동 목사가 벌인 저항운동을 비교했다. 한 목사를 포함 다른 저항운동을 벌인 기독교 지도자들도 독립운동가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독교인들이 벌인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향한 최덕성 총장의 시각은 최재건 교수와 같았다. 일제는 신사참배 거부자들을 국가를 전복하려는 반역자로 여겼다. 치안유지법 위반, 불경죄 등의 죄목으로 체포, 조사, 판결했다. 신사참배 거부가 항일운동이자 항일 투쟁이었던 것이다.
최 총장은 독립유공자로 인준된 주기철 목사(건국훈장 독립장), 주남선 목사(건국훈장 애국장)와 같이 한상동 목사, 이인제 목사, 조수옥 권사 등을 국가보훈처가 유공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총장은 "한 목사의 신사참배 운동은 가장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었다. 그는 신사참배 운동을 '정치 운동'으로 전환해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저항했다"고 말했다.
박희천 목사는 일제에 저항하다 옥중에 갇힌 당시 기독교인이 말씀에 목숨을 걸고 순종했던 이들이라고 말했다. '내가 본 출옥 성도 한상동 목사'를 주제로 발표한 박희천 목사는 직접 만나서 경험했던 한상동 목사를 회상했다. 그는 한상동 목사는 말씀에 목숨을 걸고 그대로 순종했던 인물이라고 말했다. 한 목사의 일화를 참석자들에게 들려주었다.
"한상동 목사가 신사참배에 저항하다 투옥됐을 때, 한 간수가 그를 불러 놓고 몽둥이로 사정없이 구타했어요. 한 목사는 '내가 여기서 맞아 죽는구나' 하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간수가 몽둥이질을 멈추더니 갑자기 한 목사에게 물었어요. '네가 신사참배를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한 목사는 마태복음 구절을 떠올렸어요. '어떻게 또는 무엇을 말할까 염려하지 말라 그 때에 너희에게 할 말을 주시리니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속에서 말씀하시는 이 곧 너희 아버지의 성령이시니라.' 이 말씀을 붙들고 기도하는 심정으로 간수에게 반대하는 이유를 설명했어요. 그러자 간수가 놀랍게도 '네가 이해된다'며 다시 감방으로 보냈어요."
박 목사는 당시 일제에 저항하다 옥중에 갇힌 교인들이 한 목사처럼 말씀 하나에 목숨을 걸고 운명을 맡겼다고 말했다.
최수경 사무총장(사단법인 아침)은 김한표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이주영· 이혜훈 의원, 사단법인 아침이 '10만 명 청원 서명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사무총장은 "국가보훈처에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펼치다가 돌아가신 기독교인들에 대한 서훈 재심을 신청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