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은 죄 지을 가능성 아래서 시험을 받으신 것인가?

by dschoiword posted Dec 06, 2019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수님은 죄 지을 가능성 아래서 시험을 받으신 것인가? 

 

앞선 논의에서 출발점을 일단 죄 지을 수 있는 가능성이란 말로 시작하게 되면 기독론의 인성을 정립하는데 굉장히 어려워집니다. 보수주의 안에 카이퍼와 스킬더 정도가 이런 표현을 사용했고, 바빙크, 보스는 약간 멀리했고, 벌콥은 아주 멀리했습니다. 선조들 중 이런 표현을 사용했던 분들이 계시지만 주류는 멀리하는 방식으로 기독론을 정립했습니다. 결국 예정예지, 예지예정처럼 논리의 우선성 문제입니다.

 

결국 두 논리는 비슷해 보이지만 죄 지을 수 없는 상태를 우선순위로 두고, 그 받으신 시험의 실제성, 참됨을 설명하는 방식이 정통방식입니다. 둘은 논리적으로 삼위일체처럼 어려운 부분입니다. 역사 속에서 두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기도 했습니다. 이때 좀 더 주류적 신학 입장은 죄 지을 수 없는 상태와 무죄성을 함께 고백하면서 기독론의 인성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

어거스틴이 인간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4중 상태(타락 가능성 상태, 죄만 짓는 상태, 중생자로서 죄를 안 지을 수 있는 상태, 절대 죄지을 수 없는 상태)는 그리스도의 인성에 적용하지 않는 것이 조직신학의 기본원칙입니다. 예수님의 참된 인성은 우리와 동일한 본질, 본성을 취하셨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죽음과 사망의 고통을 겪으시고, 죄와 싸우시고, 아파하셨지만 그렇다고 죄의 갈등을 겪으면서 이겨나가신 것은 아닙니다. 고난을 실제화시키기 위해서 꼭 인성의 죄 가능성을 전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전제 없이 얼마든지 실제적 고난과 시험을 치루 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비적이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마치 신적작정에서 죄의 원인자는 아니실지라도 죄까지 포함하여 모든 역사를 작정, 예정, 통치하신다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죄를 작정(허용적), 통치, 섭리 하신다고 하여 꼭 하나님이 죄를 조장하시거나 지으신다라고 전제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인성의 고난의 실제성을 강조한다고 해서 로마서 7장의 바울의 갈등처럼 "죄에 빠질까 안 빠질까 늘 고민하면서 끝끝내 힘을 내어 안 빠지는 쪽으로 이기셨다"라고 하면 큰일납니다. 성경은 단 한번도 예수님의 고난을 이런식으로 표현한 적이 없습니다. 이 표현을 보면 굉장히 어색하고 위험한 표현이 됩니다. 만약 스킬더 방식처럼 죄를 지을 수 있는 가능성 아래에 있는 인성이라고 하면 우리랑 똑같이 죄에 대한 이런 갈등을 겪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와 똑같은 참된 인간이라면 우리와 똑같은 갈등을 전제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이런 식으로 죄를 이기신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이기신 것입니다.

 

결국 이런 접근 사고는 18-19세기 들어와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빌2:7)라는 구절을 토대로 “케노시스 논쟁”, 즉 그리스도의 인성은 죄를 짓는 인간과 동일하다는 자유주의 논쟁이 폭발합니다. 이후로 자유주의는 신성은 삭제시키고 우리처럼 인성만 가진 그리스도로, 죄를 지을 수 있는 인성, 도덕적 인간으로 확장해 나갑니다. 잘못된 첫 단추의 사고가 나중에 둑을 무너뜨리는 토대가 되기도 합니다. 이래서 신학적 사고는 성경의 원리를 따라 역사성과 공교회적 신조에 기초한 객관성 아래서 체계화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신원균 교수(한마음개혁교회, 웨스트민스터 신학회 회장, 대신총회신학연구원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