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라이브러리
-
예장 고신, '그리스도의 능동 순종' 천명
예장 고신 제72회 총회(2022), 포도원교회 예장 고신, '그리스도의 능동 순종' 천명 예장 고신 제71회에 상정된 “예수 그리스도의 능동 순종에 대한 총회의 신학적 입장에 대한 요청의 건”에 대하여 총회 신학위원회와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그리고 고신...Date2022.09.21 Reply1 Views338 -
하얀 거짓말
하얀 거짓말 선의의 거짓말, 성경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나? “여호수아가 기생 라합과 그의 아버지의 가족과 그에게 속한 모든 것을 살렸으므로 그가 오늘까지 이스라엘 중에 거주하였으니 이는 여호수아가 여리고를 정탐하려고 보낸 사자들을 숨겼...Date2022.09.09 Reply0 Views290 -
로마가톨릭교회의 종교다원주의 문서
네팔의 여신 '쿠마리' 로마가톨릭교회의 종교다원주의 문서 로마가톨릭교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구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1, “사실 자기 탓 없이 그리스도의 복음과 교회를 알지 못하지만 성실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찾으며 양심의 명령으...Date2022.08.24 Reply0 Views223 -
한국교회, 경계를 넘어서라!
한국교회여, 경계를 넘어서라!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 교수 겸 한국고등과학원 석학 교수가 2022년 7월 13일 서울 동대문구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고등과학원에서 “경계와 관계”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수학자로서 한 특...Date2022.07.14 Reply0 Views219 -
변선환의 종교다원주의
변선환의 종교다원주의 원졔: 언어게임, 포스트모더니즘, 종교다원주의: 변선환의 종교 다원주의 신학이 지닌 의의와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Ⅰ. 들어가는 말 1992년, 감리교신학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던 변선환 박사는 감리교 서울연회 재판...Date2022.02.23 Reply0 Views378 -
세상의 변화와 복음주의 선교학
세상의 변화와 복음주의 선교학 변화하고 있는 선교에 대한 복음주의 선교학의 대응과 변화 침신대 이현모 교수 발표 지난 7월 초 한국세계선교협의회(대표회장 강승삼, 이하 KWMA)와 한인세계선교사회(KWMF) 주최로 열린 제5차 세계선교전략...Date2022.01.27 Reply0 Views237 -
성경 사본학의 현재와 미래
성경 사본학의 현재와 미래 변종길 박사/ 고려신학대학원 사람들은 “학자”(學者)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한다. 여러 가지로 때묻고 혼탁한 세상에서 그래도 학자는 깨끗한 양심을 가지고 정직하게 진리를 가르쳐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래서 비록 권세...Date2021.03.20 Reply0 Views528 -
신약 사본학 이야기
신약 사본학 이야기 제1장: 사본학! 왜 필요한 것인가? 사본학(정확하게 말하자면, 본문비평학=textual criticism)은 왜 필요한 것인가? 메쯔거의 신약사본학 책을 읽다보면 지겨워 성질이 나기 시작하고 드디어 책을 덮으면서 드는 생각이 바로 이것...Date2021.03.20 Reply0 Views645 -
교파들 사이에 신앙고백적 차이가 없는가?
교파들 사이에 신앙고백적 차이가 없는가? 원제: 화이부동(和而不同)은 가능한가? 한국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이 모호해지고 있는 증상은 여러 면에서 나타난다. 강단에서 외치는 설교에 응집력과 일관성 있는 교리가 없다. 확실성을 가진 진리체계를 제...Date2020.06.13 Reply0 Views714 -
Intellectual tyrant
Intellectual tyrant The growing and deepening polarization of our society is making people an intellectual tyrant. The atmosphere of judging and condemning the other person with a confrontational view of politics has passed over the normali...Date2020.05.13 Reply0 Views11697 -
지적 폭군
Burchard of WormsㅡBishop of the Imperial City of Worms (재위 1000-1025) 지적 폭군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1: 머리말 "자기가 본문을 해석하는 게 아니라 본문이 자기를 해석하게 하라"(어거스틴) 우리 사회의 증대되고 심화되는 양극화는 사람들...Date2020.05.12 Reply0 Views550 -
쌍두마차시대
쌍두마차시대 최덕성 교수의 『쌍두마차시대』(2012)를 읽고/ 정태홍 박사 교황과 황제 그리고 중세 망딸리떼 무릇 책이라는 것은 제목을 보면 ‘그 책이 무엇을 말하는가?’하는 답이 나와야 한다. 요즘에 나오는 책들을 보면 너무 감성적인 제목이 많다. 제목...Date2020.03.25 Reply0 Views766 -
종교개혁전야
종교개혁전야 최덕성 교수의 <종교개혁전야>(2003)을 읽으면서/ 최재호 최덕성 박사와 만남 1. 내가 본 최덕성 박사 최덕성 박사를 처음 만난 것은 2000년대 초반 고려신학대학원에서였다. 높은 콧날과 금테 안경 너머로 보이는 강렬한 눈빛은 그가 매우 ...Date2020.03.25 Reply0 Views527 -
THE ROOTS OF THE PRESBYTERIAN CONFLICTS
THE ROOTS OF THE PRESBYTERIAN CONFLICTS IN KOREA, 1910-1950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DOUG CHOI EMORY UNIVERSITY, 1992 PREFACE In the 1920s, Dr. George L. Paik published his Yale dissertatio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Date2020.03.25 Reply0 Views2981 -
THE CONLICTS IN THE VIEWS OF THE BIBLE, PCK
THE CONLICTS IN THE VIEWS OF THE BIBLE, PCK Master of Sacred Theology, Thesis DOUG CHOI YALE UNIVERISTY, 1985 Introduction The Bible is the foundation of theology, the primary source for Christian knowledge, and a basis of the Church chur...Date2020.03.25 Reply0 Views11603